실수 1개를 입력받아 정수 부분과 실수 부분으로 나누어 출력한다. 입력 : 1.435867 출력 : 1 435867 f = input().split('.') print(f[0]) print(f[1]) 닷으로 구분하기 위해 split에 닷을 넣어주고 배열에 저장했으므로 번지수로 출력한다. string = input().split('.') print('''\ {} {} '''.format(string[0], string[1])) 출력할 형식에 맞게 format 함수를 사용하였다.
주민번호의 형식는 XXXXXX-XXXXXXX 이다. 앞의 6자리는 생년월일(yymmdd)이고 뒤 7자리는 성별, 지역, 오류 검출 코드이다. 주민번호를 입력받아 형태를 바꿔 출력해보자. 입력 주민번호 앞 6자리와 뒷 7자리가 '-'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입력값은 가상의 주민번호이다.) ex) 110011-0000000 출력 '-'를 제외한 주민번호 13자리를 모두 붙여 출력한다. 입력 : 000907-1121112 출력 : 0009071121112 number = input().split('-') print(number[0], number[1], sep='') 대시를 기준으로 구분하므로 split 함수에 대시를 넣는다. 배열에 저장했으므로 번지수로 출력하는데 이때 띄어쓰기 없이 출력하므로 사이에 공백이..
년, 월, 일을 입력받아 지정된 형식으로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 입력 연, 월, 일이 ".(닷)"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 출력 입력받은 연, 월, 일을 yyyy.mm.dd 형식으로 출력한다. 입력 : 2020.2.9 출력 : 2020.02.09 (단, m 혹은 d가 한 자리 수인 경우 앞에 0을 붙여 출력한다.) y, m, d = input().split('.') x = '{}.{}.{}'.format(y, m, d) print(x) 닷을 기준으로 구분하기 위해 split 함수에 닷을 입력하고, 형식이 있으므로 format 함수를 사용한다. m, d가 한 자리 수일 때 0을 붙여 출력하지 못했다. y, m, d = input().split('.') if len(m) == 1: m = '0'+m if l..
어떤 형식에 맞추어 시간이 입력될 때, 그대로 출력하는 연습을 해보자. 콜론(:) 기호를 기준으로 두 수가 각 변수에 저장된다. 입력 : 3:15 출력 : 3:15 Tip:: split()의 매개변수로 문자열을 분할하기 위한 기준을 정의할 수 있다. 문자열의 메소드(함수)인 format()을 이용하면 문자열 내부에 변수값을 대입할 수 있다. t1, t2 = input().split(':') t = '{0}:{1}'.format(t1, t2) print(t) 콜론 기호를 기준으로 분할되므로 split 함수에 콜론을 써주고, format 함수를 사용해 형태를 지정하고 변수를 대입한다. h, m = input().split(':') print('{}:{}'.format(h, m)) 인덱스값은 적지않아도 되고,..
실수(float) 1개를 입력받아 저장한 후, 저장되어 있는 값을 소수점 셋 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소수점 이하 둘 째 자리까지 출력하시오. Tip:: 반올림 함수 round()를 이용하면 된다. f = round(float(input()), 2) print(f) 실수를 입력받는 식을 쓰고, round 함수로 묶어준 뒤 변수를 출력한다. var = round(float(input()), 2) print(var) round 함수 round(실수, n) n번째 소수점까지만 출력하고 싶을 때 반올림해주는 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