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나의 풀이
food_times = list(map(int, input().split())) # 3 1 2이면 다 먹는데 6초가 걸린다는 뜻
k = int(input()) # 5초에 장애발생
time = 0
while time < k: # 에러나는 시간 전까지 게속 반복하도록
for i in range(len(food_times)):
if food_times[i] <= 0: # 시간이 0이 되었을 때 반복문 나가기
continue
else:
food_times[i] -= 1
time += 1
print("{}~{}초 동안에 {}번 음식을 섭취한다. 남은 시간은 {}이다.".format(
time-1, time, i+1, food_times))
# print("{}초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 {}번부터 음식 섭취가 중단되었으므로, 장애 복구 후에 {}번부터 다시 먹으면 된다.".format(time, ?, ?))
# 구하지 못함
# 해설
import heapq
def solution(food_times, k):
if sum(food_times) <= k: # 다 먹었으면(합이 먹는 시간보다 적으면) -1 출력
return -1
# 시간이 작은 음식부터 빼기 = 우선순위 큐 사용
q = []
for i in range(len(food_times)):
heapq.heappush(q, (food_times[i]), i+1)
sum_value = 0
previous = 0
lenght = len(food_times)
# 먹기위해 사용한 시간 + (현재 음식 시간-이전 음식 시간) * 현재 음식 개수와 k비교
while sum_value + ((q[0][0]-previous)*lenght) <= k:
now = heapq.heappop(q)[0]
sum_value += (now-previous)*lenght
lenght -= 1 # 다먹은 음식 제외
previous = now # 이전 음식 시간 재설정
# 남은 음식 중 몇 번쨰 음식인지 확인
result = sorted(q, key=lambda x: x[1])
return result[(k-sum_value) % lenght][1]
'Python > 이코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왕실의 나이트 (0) | 2022.06.21 |
---|---|
4-1. 아이디어를 코드로 바꾸는 구현 (0) | 2022.06.20 |
11-5. 볼링공 고르기 (0) | 2022.05.29 |
11-4. 만들 수 없는 금액 (0) | 2022.05.29 |
11-3. 문자열 뒤집기 (0) | 2022.05.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