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uestion https://www.acmicpc.net/problem/2309 2309번: 일곱 난쟁이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www.acmicpc.net ✍️ answer dwarf = [] for i in range(9): dwarf.append(int(input())) # 한 줄로 가능: dwarf = [int(input()) for _ in range(n)] for i in range(8): # ([0]+[1]) ([0]+[2]) ([0]+[3]) ... ([7]+[8]) for j in range(i+1, 9): if sum(dw..
[38] 📖question 정수 2개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answer a, b = map(int, input().split()) print(a+b) [39] 📖question 정수 2개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 실제 문제에서는 굉장히 넓은 정수 범위의 데이터형을 요구하는 문제이나 파이썬에서는 int()로 처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C에서 unsinged int보다도 크며 unsinged long과 같은 범위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실제 범위 범위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이보다 큰 범위를 지정하고자 할 때는 long 데이터 형을 이용하면 된다. 파이썬에서는 4가지의 데이터형을 제공한다. 파이썬..
[10] 📖question 정수형(int)으로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에 정수값을 저장한 후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그대로 출력해보자. ✍️answer i = int(input()) # i=10 print(i) [11] 📖question 문자형(char)으로 변수를 하나 선언하고, 변수에 문자를 저장한 후 변수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를 그대로 출력해보자. Tip:: input()의 반환값은 기본으로 문자열로 정의된다. ✍️answer c = input() # c='a' print(c) [12] 📖question 실수형(float)로 변수를 선언하고 그 변수에 실수값을 저장한 후 저장되어 있는 실수값을 출력해보자. ✍️answer f = float(input()) # f=1.1 print(f) [13] 📖..